[그냥] 주요 국가의 국민들은 하루 24시간을 어디에 쓰고 있을까?
오늘 페친분의 포스트를 보다보니, 많은 직장인들이 COVID19 백신을 주로 금요일에 맞는다네요. 아무래도 몸이 뻐근하거나 휴식이 필요해도, 눈치보며 휴가를 내기보다는 주말에 쉬고 평일에는 일하려고 하는 것 같다고 해석을 하시네요. 짠합니다.
OECD Statistics (https://stats.oecd.org/) 중에서 흥미로운 것이 보여서, 살짝 공유해봅니다. 제목은 Time Use 인데요, 하루 24시간, 분으로 따지면 1,440분을 어디에 쓰고 있는가? 입니다. 시간을 쓰는 유형은 몇 가지로 구분해놓았습니다.
- Paid work or study: 돈을 받으며 일을 하거나, 일자리를 찾거나, 공부하는데 쓰는 시간 등
- Unpaid work: 가사 노동, 쇼핑, 가족 돌보기, 자원봉사활동, 가족 돌봄을 위한 이동시간 등
- Personal care: 잠자는 시간, 휴식시간, 식사시간, 건강관리, 명상 등
- Leisure : 운동하는 시간, 문화 활동, 사교 활동, 취미 활동, 게임 등
- Others: 종교활동 및 기타 미분류
자, OECD 국가 중에서 평균적으로 볼 때에 일벌레, 공부벌레 국가는 어디이고, 잘 쉬고 잘 노는 나라는 어디일까요? 상위 국가를 뽑기 보다는, 또는 표준편차를 계산해서 발라내기보다는, 그냥 나눠보았습니다.
하루에 300분 이상을 공부하거나 돈 받으며 직장에서 집에서 일하는 것으로 보면, 역시 우리나라는 아직 근면 성실입니다. 그런데, 일본과 멕시코가 우리보다 일 또는 공부를 더하는 것으로 나오네요. 멕시코야 노동시간이 긴 것으로 유명하니까 그렇다치고, 일본이 더 바둥바둥 일하는가 봅니다. 일본은 학생들이 우리나라처럼 아침부터 밤까지 공부에 매달리지 않는다고 들었는데 말이지요. 약간 의외입니다.
Unpaid Work은 유달리 한국과 일본이 낮은 시간을 기록하고 있네요.
Personal Care를 보면, 우리가 일본보다는 약 1시간을 더 쓰네요. 휴식을 더 갖는다는 측면에서는 좋아보이네요. 역시나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식사 시간이 긴 것처럼, 휴식도 길게 갖는 것 같고요.
Leisure는 상대적으로 경제적으로도 잘 사는 유럽 국가들이 더 즐기는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도 잘 사는 나라이지만, 우리보다 경제적으로 더 잘사는 나라들이 많기는 하니까요.
Age |
15-64 |
||||||
Sex |
Total |
||||||
Time |
Latest year |
||||||
Description |
|||||||
Country |
|
|
|
|
|
|
|
|
238 |
243
|
657 |
281 |
20 |
||
Austria |
|
306
|
202
|
632
|
291
|
8
|
|
|
236 |
192 |
664 |
339
|
9 |
||
Canada |
|
305
|
186
|
637
|
279
|
34
|
|
Denmark |
|
225 |
217
|
659 |
329 |
10 |
|
|
256
|
208
|
663
|
309
|
5
|
||
Finland |
|
229 |
197 |
640 |
331
|
43 |
|
France |
|
204
|
181
|
752
|
294
|
9
|
|
|
248 |
196 |
648 |
331
|
17 |
||
|
228
|
180
|
685
|
341
|
6
|
||
|
238 |
229
|
683 |
281 |
9 |
||
Ireland |
|
268
|
210
|
609
|
312
|
41
|
|
Italy |
|
177 |
219
|
708
|
323
|
13 |
|
Japan |
|
363
|
132
|
620
|
278
|
47
|
|
Korea |
|
344
|
132 |
678 |
258 |
28 |
|
Latvia |
|
330
|
196
|
641
|
269
|
4
|
|
|
315
|
224
|
646 |
247 |
8 |
||
|
285
|
179
|
686
|
276
|
14
|
||
|
349
|
264
|
634 |
172 |
21 |
||
Netherlands |
|
243
|
186
|
682
|
315
|
15
|
|
New
Zealand |
|
270 |
204
|
648 |
301
|
17 |
|
Norway |
|
241
|
196
|
627
|
368
|
7
|
|
|
260 |
226
|
657 |
286 |
11 |
||
Portugal |
|
295
|
223
|
676
|
241
|
6
|
|
Slovenia |
|
265 |
231
|
628 |
311
|
6 |
|
Spain |
|
202
|
217
|
692
|
316
|
13
|
|
Sweden |
|
293 |
196 |
622 |
321
|
6 |
|
Turkey |
|
246
|
186
|
682
|
286
|
40
|
|
United
Kingdom |
|
262 |
195 |
645 |
306
|
32 |
|
United
States |
|
289
|
219
|
652
|
286
|
24
|
|
Non-OECD
Economies |
|
340 |
164 |
694 |
228 |
15 |
|
India |
|
295
|
191
|
687
|
254
|
12
|
|
South Africa |
|
241 |
182 |
695 |
306 |
16 |
갑자기 궁금해지는 것은…. 우리나라의 남성과 여성이 하루를 쓰는 것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지? 이웃나라인 일본과는 어떤 차이가 있을지? 였습니다.
한 눈에 보아도, 한국, 일본, 독일, 미국 모두 남성들의 근무시간이 여성들의 근무시간보다 많이 높네요. 불쌍한 남자들 ㅠㅠ
반면에 가사노동이 상당시간을 점유할 것으로 보이는 Unpaid work은 여성들이 높기는 한데, 한국과 일본의 남성들은 거의 바닥수준이네요. ㅠㅠ 일하고 술먹고 집에 늦게 들어가고, 집에 들어가면 드러누워 잠자고 ... 상상이 갑니다.
다만,
여성들의 Unpaid Work 시간은 오히려 미국이나 독일이 한국, 일본보다 길게 나오네요. 요건 잘 이해가 안가기는 하는데… 쇼핑시간이 길거나, 땅덩어리가 넓다보니 이동시간이 길어서일까요?
(Men) |
|
|
|||||
Korea |
|
419 |
49 |
676 |
272 |
24 |
|
Japan |
|
452 |
41 |
613 |
292 |
43 |
|
Germany |
|
290 |
150 |
638 |
346 |
16 |
|
United
States |
|
332 |
166 |
635 |
306 |
20 |
|
(Women) |
|
|
|||||
Korea |
|
269 |
215 |
680 |
244 |
32 |
|
Japan |
|
272 |
224 |
626 |
266 |
51 |
|
Germany |
|
205 |
242 |
659 |
316 |
18 |
|
United
States |
|
247 |
271 |
667 |
266 |
28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