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016의 게시물 표시

정도전과 그의 시대

이미지
조선 건국의 사상적 아버지라 불리우는 정도전에 대해 알기 위해 책을 골랐다. 한권은 이덕일 선생님이 쓴 '정도전과 그의 시대', 그리고 다른 한권은 김용옥 선생님의 '삼봉 정도전의 건국철학'이다. 이 중, '정도전과 그의 시대'를 먼저 읽기 시작했다. 첫 느낌은 '고려는 정말 망할 지경까지 갔구나, 그리고 소수의 세력이 잘 먹고 잘 살자고 새로운 나라를 일으킨 것이 아니라 백성을 위한 나라를 만들고자 했구나' 였다.  당황스럽게도고려말의 시대상이 젊은 이들이 헬조선이라 부르는 현재의 시대상과 많은 부분 겹쳐보였다. 기득권이 스스로 내려놓지 않으니, 과거에는 왕조를 바꾸는 혁명이 일어났던 것 아닌가? 선거를 통해 집권당을 바꾸고, 대통령을 바꿀 수는 있지만, 그래봤자 정치인들 스스로가 혁신의 주체를 자처하지만 혁신의 대상이다보니 혁신에 큰 한계가 있다. 책 속으로 들어가 고려말로 가보자. 고려말에는 권문세족이라고 불리우는 세력가들이 있었는데, 산천을 경계로 토지를 갖고 있었다고 한다. 이덕일 선생님은 이를 비유해 지금의 서울이라 하더라도 한두 가문이 그 땅을 나눠 갖을 만큼이라고 비유했다. 그 시절에 광공업이래야 그릇, 가구, 농기구 등 만드는 정도였을 것이고, 농사가 전부였을터이니, 땅은 삶의 전부였을 것이다. 그런데, 권문세족들은 한 푼의 세금도 내지 않으면서 상상을 초월하는 규모의 토지를 소유했고, 도평의사사라는 정치기구를 통해 왕 위에 굴림하고 있었으니, 그들은 떵떵거리고 살았겠지만, 그 외의 대다수 백성들의 삶은 어떠했을지 상상이 간다. 오로지 어린아이부터 나이든 할아버지, 할머니까지 온 가족이 피땀으로 농사를 지어 놓고 나면, 소출의 8~9할을 힘있는 놈들이 와서 세금으로 빼앗아갔다고 하니, 억울하고 분통한 마음에 농사를 하기 싫었을 것이고, 산속으로 들어가 화적이 되거나, 화전민이 되었을 것이다.   이번에 새롭게 알게된 신돈의 이야기~. 신돈의 어머니는 경상도에 있는 옥천

명견만리 - 윤리, 기술, 중국, 교육 편

이미지
살 때에 같이 사고 몰아사는 습관이 있는터라, 2권 정도에 해당하는 이 책도 냉큼 클릭했었다. 1권에 해당하는 책에 이어, 일관되게 하고 싶은 이야기는 프레임(frame)이다~ 손가락도 아프고, 많이 떠들지는 않으련다. 첫번째 편 - 윤리  사람은 본래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소위 합리적 소비를 해 온다고 믿어 왔는데, 그렇지 않다. 심지어 비싼 돈을 내고 자기보다 어려운 이를 직간접적으로 돕겠다고 하고, 환경을 보호하겠다고 한다. 소위 착한 소비, 개념 소비, 가치 소비를 하는 것이 신기해보이는 것이다. 자본주의의 합리성을 설파해온 인간들의 눈에는 이상하게 보일지 모르겠지만, 사람은 원래 혼자만의 이익을 추구해온 일이 없다. 오히려 돕고 살아 왔지.... 서로 돕고 사는 네트워크를 끊고, 혼자만의 세상에 빠지도록 만들어온 것이야말로 착한 소비가 신기해보이기만 하는 사람들일 것이다. 소위 착한 소비는 기부보다 훨씬 쉽다. 기부를 해도 그 돈이 제대로 잘 쓰일지 그 믿음이 떨어지고 있는 판인데, 착한 소비는 눈 앞에 물질적 대상이 보이기 때문에 마음이 놓이는 효과도 있고, 눈에 드러나기 때문에 주위 동료와 친구들을 끌어들이는 효과도 있다. 스위스 국민가방이라는 프라이탁을 검색해본다. 국내에서는 명품취급을 받는지 Hmall에서 주로 팔고, 메신저 백 기준으로 30만원을 훌쩍 넘는다. 프라이탁 웹사이트를 직접 가보니 (https://www.freitag.ch/en) 보다 다양한 제품이 저렴한 가격으로 전시되어 있다. 이건 환경사랑이라고 치고, 서스펜디드 커피와 같이 불특정의 이웃을 생각하는 소비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미리내(https://story.kakao.com/ch/mirinaeso/)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착한 소비가 신기한가? 착한 소비, 가치 소비는 신기하게 생각할 대상이 아니다. 주위 이웃을 아끼는 마음이고, 생각을 작은 행동으로 옮겨본 것일 뿐이다. 쌓이고 쌓이면, 사회를 흔들수 있는 여론이 되기도 하고, 사회

명견만리 - 인구, 경제, 북한, 의료 편

이미지
이 책을 접하기 전까지는 명견만리라는 TV 프로그램이 있는지도 몰랐다. 인터넷 교보문고에서 역사책을 사겠다고 scrolling을 하다가, 많이 팔리고 있는 책이라고 해서 눈길을 주었고, 목차를 훓어보다 마음에 들어 구매하게 되었다. (집에 TV가 없다보니, 모르고 살아가는 것도 많다.) 어떤 책이든 본문에 앞서 있는 추천사를 비롯한 글들을 다 읽는 편인데, 이 책의 프로롤그는 너무 진중하다. 진중함을 넘어서 너무 뻐긴다는 느낌도 받게 된다.  TV에서는 어디까지 얼마나 다루었는지 모르겠으니, 책과의 차이를 이야기할 처지가 안되니 이 부분은 패스~. 우리가 보고, 느끼고 있는 트렌드의 이면에 자리잡고 있는 핵심을 밝히고 있는지, 이 시대가 갖고 있는 문제에 대해 공감할 수 있는 처방 내지 처방을 찾기 위한 질문은 제대로 던지고 있는 것인지? 첫번째 주제 - 인구 아주 오래 전부터 경영학이나 컨설팅의 고수들이 인구통계학적 변화만큼 큰 변화도 없다고 했는데..., 고령화, 저출산에 대해 지겨우리만큼 이야기를 듣고, 그 변화가 닥쳐 왔는데도 아직은 아니겠지라며 외면하고 있다. 길거리를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고령화, 청년실업, 가계자산의 부동산 편중, 가계부채의 심각성 등에 대해 이야기하면 모른다고 고개를 저을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문제를 심각하게 느끼지는 못하는 것 같다. 아직 내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인지, 나만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인지... 혁명이라도 일어나야 할 판인데, 누구를 타겟으로 삼아야 할지를 몰라서 그런지 분노도 쉽게 사그라 앉는 것 같다.  헬조선이라는 말이 괜히 나왔으랴. 젊은이는 공부하고 사회에 나와보았자 제대로 된 일자리를 얻기도 힘들고, 자연히 결혼과 출산을 미루게 되고, 버는 것이 없다 보니 소비도 줄이게 되어 궁핍한 삶을 살게 된다. 지금의 중장년층이 재산증식을 위해 올려놓은 집값 앞에서는 입이 쩍 벌어지고 울분을 토하게 되는데, 심지어는 앞으로 본인들의 노후가 아니라 지금 중장년층이 은